분당서울대병원 양은주 교수팀, 암 생존자 직업 복귀 인식 현황 분석 암 생존자 신체 상황에 적합한 평가, 맞춤형 환경 제공 필요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암 생존자들이 치료 이후 직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개선이 필요하다는 연구논문이 발표됐다.
국내 암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5년 상대 생존율(암 환자가 5년 이상 생존할 확률)은 70%를 넘어섰으며, 암 유병자는 173만 명(1999년부터 2016년까지)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암 환자 중 절반은 직업을 갖고 일할 수 있는 '근로가능인구집단'이지만, 이들의 직장 복귀율은 단 30.5%에 불과한 수준이다. 63.5%인 해외 평균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양은주수 교수(재활의학과)·심혜영 박사(제1저자)팀이 국내 직업환경의학 전문가 44명을 대상으로 암 생존자의 업무적합성평가 경험, 사업장 연계 현황, 직장복귀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암 환자의 직업복귀에 대한 인식과 현황에 대해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응답자 중 암 생존자 '진료 경험이 있는 사람'은 25.0%(11명), '경험이 없는 사람'은 75.0%(33명)로 확인됐다. 진료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연평균 12.6명의 암 생존자를 진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다수 직업환경의학 전문가는 암 생존자에 대한 진료 경험이 낮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암 환자 직원이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재활 기간이 필요한 경우, 사업장 관리자는 직원의 재활을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40.9%가 '동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실제 사업장의 지원과 배려가 불충분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업환경의학 전문가도 암 환자와 의사소통하는 것이 다른 질환의 환자와 의사소통 하는 것보다 심리적으로 힘들다는 의견이 61.4%로 암 생존자와의 의사소통에 장벽이 있음이 파악됐다.
또한, 이들은 암 환자를 진료하고 상담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정보를 얻고 있지 못하다고 응답했다. 암 환자의 치료를 도운 주치의들이 직업환경의학 전문가의 역할을 알고 있는지 질문한 결과 '잘 모른다'는 의견이 56.8%로 전문 의료진간의 업무이해도 역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 생존자 맞춤형 근로 환경 제공 필요
마지막으로 암 생존자 직업복귀를 저해하는 장애 극복 방안에 대해서는 근로자 본인의 직업복귀 능력 배양, 직장 내 근로 환경 개선, 사내 복지기금 마련 및 혜택, 사업주의 인식 개선 등을 꼽았다. 사회제도 측면에서는 단계적인 재활 프로그램 도입, 사회인식 측면에서는 교육을 통한 일반인의 암에 대한 이해도 향상 등이 거론됐다.
양은주 교수는 "암 생존자는 치료에 대한 후유증으로 신체적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재활치료와 훈련을 받는다면 직장에 복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건강을 회복할 수 있다"며 "신체 상황과 업무 요구도에 적합한 평가가 이뤄지면서 사업장과 의료인의 소통과 연계 바탕으로 암 생존자 맞춤형 근로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심혜영 박사는 "암 생존자는 일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편견이 존재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암 환자가 직장에 복귀하고 싶어 한다"며 "건강한 모습으로 직장과 사회에 복귀 할 수 있도록 사회 전체적인 인식개선과 함께 기업이나 국가에서는 치료 및 검사를 위한 유급 휴가를 지원해준다거나 탄력 근무, 적절한 직무 변경 등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암 생존자 신체 상황에 적합한 평가, 맞춤형 환경 제공 필요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암 생존자들이 치료 이후 직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개선이 필요하다는 연구논문이 발표됐다.
국내 암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5년 상대 생존율(암 환자가 5년 이상 생존할 확률)은 70%를 넘어섰으며, 암 유병자는 173만 명(1999년부터 2016년까지)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암 환자 중 절반은 직업을 갖고 일할 수 있는 '근로가능인구집단'이지만, 이들의 직장 복귀율은 단 30.5%에 불과한 수준이다. 63.5%인 해외 평균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양은주수 교수(재활의학과)·심혜영 박사(제1저자)팀이 국내 직업환경의학 전문가 44명을 대상으로 암 생존자의 업무적합성평가 경험, 사업장 연계 현황, 직장복귀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암 환자의 직업복귀에 대한 인식과 현황에 대해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응답자 중 암 생존자 '진료 경험이 있는 사람'은 25.0%(11명), '경험이 없는 사람'은 75.0%(33명)로 확인됐다. 진료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연평균 12.6명의 암 생존자를 진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다수 직업환경의학 전문가는 암 생존자에 대한 진료 경험이 낮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암 환자 직원이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재활 기간이 필요한 경우, 사업장 관리자는 직원의 재활을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40.9%가 '동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실제 사업장의 지원과 배려가 불충분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업환경의학 전문가도 암 환자와 의사소통하는 것이 다른 질환의 환자와 의사소통 하는 것보다 심리적으로 힘들다는 의견이 61.4%로 암 생존자와의 의사소통에 장벽이 있음이 파악됐다.
또한, 이들은 암 환자를 진료하고 상담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정보를 얻고 있지 못하다고 응답했다. 암 환자의 치료를 도운 주치의들이 직업환경의학 전문가의 역할을 알고 있는지 질문한 결과 '잘 모른다'는 의견이 56.8%로 전문 의료진간의 업무이해도 역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 생존자 맞춤형 근로 환경 제공 필요
마지막으로 암 생존자 직업복귀를 저해하는 장애 극복 방안에 대해서는 근로자 본인의 직업복귀 능력 배양, 직장 내 근로 환경 개선, 사내 복지기금 마련 및 혜택, 사업주의 인식 개선 등을 꼽았다. 사회제도 측면에서는 단계적인 재활 프로그램 도입, 사회인식 측면에서는 교육을 통한 일반인의 암에 대한 이해도 향상 등이 거론됐다.
양은주 교수는 "암 생존자는 치료에 대한 후유증으로 신체적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재활치료와 훈련을 받는다면 직장에 복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건강을 회복할 수 있다"며 "신체 상황과 업무 요구도에 적합한 평가가 이뤄지면서 사업장과 의료인의 소통과 연계 바탕으로 암 생존자 맞춤형 근로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심혜영 박사는 "암 생존자는 일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편견이 존재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암 환자가 직장에 복귀하고 싶어 한다"며 "건강한 모습으로 직장과 사회에 복귀 할 수 있도록 사회 전체적인 인식개선과 함께 기업이나 국가에서는 치료 및 검사를 위한 유급 휴가를 지원해준다거나 탄력 근무, 적절한 직무 변경 등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대한의학회지(JKMS)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