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치료

감마나이프
암이란 2019-06-05 1260
0

국내 중입자치료기센터 성공할까?

암이란
2019-05-21
조회수 2793

국내 중입자치료기센터 성공할까?

  •  주윤지 기자
  •  승인 2019.05.21 06:03
연세암병원과 서울대병원, 중입자치료기 서울 1곳, 부산 1곳 가동 예정
"고가 수가, 보험이 가장 큰 문제… "실제 니즈(needs)도 많지 않을 것"
<br>

[메디칼업저버 주윤지 기자] "꿈의 암치료기"로 불리는 중입자치료기가 한국으로 오면서 환자들이 실제 치료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연세암병원은 도시바와 MOU를 맺고 중입자가속기를 미래관에 지어 2022년까지 가동하겠다고 발표했다. 중입자치료기 도입 위해 연세암병원은 연세의료원 차원에서 2000여억원의 금액을 투자했다.

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부산시, 기장군, 서울대병원은 중입자가속기 사업 추진 협약을 체결하면서 2023년까지 국내 2번째 중입자가속기를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시와 기장군, 한국원자력의학원은 2015년까지 국비 700억원, 부산시와 기장군 각 250억원, 한국원자력의학원 750억원 등 1950억원을 투자했다.

일본 비해 약 25년 늦었지만 중입자치료기는 하이테크기술(high tech)을 요구해, IT강국인 한국이 급속히 따라갈 수 있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반면에 환자의 실질적 수요가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고 있다.

중입자치료란?

약 70%의 암환자는 방사선치료(radiation therapy)를 단독 혹은 병용요법으로 받는다. 방사선치료는 대부분 X-선이나 감마선을 사용하는데, 이는 암이 있는 곳까지 가는 동안 방사선량이 급격히 줄어 치료효과가 적을 수 있다. 또, 중간 과정에 위치한 정상세포도 손상해 구토, 설사, 탈모, 피로감 식욕 감퇴 등 심각한 부작용이 동반한다.

반면, 중입자치료는 탄소 속에 있는 중이온을 빛의 속도 70%까지 끌어올려 초당 10억개의 원자핵 알갱이를 몸 속으로 보내 암세포만 정밀하게 파괴시킨다. 방사선 치료에 비해 브래그픽(Bragg peak)을 사용해 3배 이상으로 암세포를 파괴 할 수 있어 치료 기간도 짧고 정상세포의 손상도 줄여 부작용이 거의 없다.  

전립선 암 경우 강도변조방사선치료(IMRT)로 약 40분량을 조사해야하지만 탄소이온방사선치료는 12분량의 방사선을 필요해 치료기간이 훨씬 더 짧을 수 밖에 없는 것. 

실제로 중입자치료기는 간암 90%, 전립선암 100%, 폐암 80%, 재발된 암도 42% 완치율을 보이고 있다. 

중입자치료는 암 종류별로 치료 횟수(1-10회 이상)가 달라질 수 있다. 치료 받기 위해 환자는 처음에 영상진단을 받고 방사선치료 전문 의사와 암 치료법에 대해 설명을 듣는다. 이후 환자가 방사선치료 중에 사용할 고정기구를 제작한다. 본격적인 치료를 하기 전에 더미(dummy)를 사용한 모의치료를 진행한 후 의학물리사가 치료계획을 설립한다. 암 부위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중입자치료를 받는다.

중입자치료는 방사선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거의 모든 암 부위에 치료를 할 수 있다. 비소세포 폐암, 간암, 전립선암, 직장암, 식도암, 자궁암, 두경부암, 뇌종양, 육종, 악성 흑색종 등이 해당된다. 

그러나 중입자치료는 일반 방사선 부작용이 나타 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의 암을 치료 하면 장 옆에 있는 창자에 지장이 생겨 장천공이 생길 수도 있다. 실제로 일부 중증 암 환자들이 중입자치료를 받기 위해 독일을 갔다가 사망하는 경우가 10사례로 꼽힌다.

중입자치료 수요가 있을까?

연세암병원 미래관
연세암병원 미래관


국내 중입자치료기가 2개 가동 될 예정 가운데 실제로 환자들이 요구하거나 치료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 암환자들은 중입자치료를 받기 위해 해외에서 약 1억원의 치료 비용을 부담하는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중입자치료의 성공여부는 비용문제를 피할 수 없다. 

단국대 최상규(방사선종양) 교수는 "중입자치료는 몇천만원에서 1억까지 되서 비용이 가장 큰 문제"라며 "중입자치료는 양성자 치료 보다 주변 조직을 살리는 꿈의 암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니즈(needs)가 많을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특히 "기존의 삼차원방사선치료나 IMRT치료가 가장 보편적이고 전체 암환자 수가 백70만명 정도 되는데 그 중 중입자치료 하려는 환자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물론 환자들이 뉴스를 보고 하고 싶어 할 수 있는데 비용이 워낙 비싸고 상용화 된 기술이 아니라 접근성이 떨어진다"며 "급여화 문제에서도 모든 암 대상으로 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반면 한 업계 전문가는 중입자치료가 양성자치료 처럼 급여화 될 가능성을 가르켰다.

서울대병원 우홍균 사업단장(방사선종양학)은 "초반에는 비급여 가능성이 높지만 (정부 급여 정책이) 유지된다면 양성자치료보다 더 빨리 급여화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양성자치료가 처음 환국에 들어왔을 때 비급여였지만 국립암센터가 급속도로 급여화 시킨 바가 있다. 

비급여로 들어오면 병원이 치료비를 처음 설정하기 때문에 연세암병원이 가격을 최초로 측정하게 된다.

비용 측면에서는 갈 길이 멀지만 접근성 측면에서 환자들이 편리할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방사선 치료 경우, 환자들은 월화수목금 매일 병원으로 와야한다"며 "중입자치료기가 서울에만 있다면 지방에 사는 환자들은 매일 KTX를 타고 와야하지만 부산에도 설립되어 지방 환자들에게 좋을것"이라고 말했다.

중입자치료 개발 과정

일본 방사선의학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s, NIRS)는 1994년 세계 최초로 Heavy Ion Medical Accelerator (HIMAC)에서 중입자치료를 시작해 현재 1만1000명이 넘는 암 환자를 치료해왔다. 

기술 자체는 미국에서 처음에 조사되기 시작했지만, 미국에는 중입자치료기가 아직 없다. 

현재 중입자치료기는 기존 치료법으로 치료할 수 없는 '난치성암'을 치료 할 수 있는 혁신적 요법으로 꼽히고 있다. 

축적된 임상자료를 따르면 중입자치료가 기존 포톤 치료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나타났지만 중입자치료기센터 수의 부족함에 따라 임상 데이터가 부족해 방사선치료와 직접 비교 분석하기 어렵다. 

또 중입자치료기센터는 건설 및 유지 비용이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병원과 기관들은 중입자치료기센터를 짓지 못한다. 이어 연구자들은 중입자치료기가 특정한 암 환자에게 치료효과가 있는지 보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0 0